30대 성인 남녀가 주의해야 할 질병 5가지

30대에는 사회적으로 경력이 쌓이면서 일적인 면에서 안정을 찾아가지만, 안정이 찾아옴과 동시에 그동안 살펴보지 못했던 본인의 몸에 이상이 생길 수 있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. 30대 성인남녀가 주의해야할 질병 5가지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.
30대 성인 남녀가 주의해야 할 질병 5가지
우울증
30대에는 20대에 치열하게 일로서 인정받고자 살아오다 30대가 되면서 일에 대한 경력,안정감이 생기면서 번아웃 증상과 비슷하게 우울증이 찾아오기 쉽다고 합니다. 이런 우울증은 비단 일에서 뿐만 아니라 출산을 한 여성에게서는 산후우울증의 형태로도 찾아올 수 있고, 일을 너무 많이 하거나 자신이 하기 싫어하는 일을 하게 됨으로써 찾아오는 우울증 일 수도 있습니다.
이런 우울증의 초기 진단이 가능한 전초 증상으로는 직장생활이 무료하고 , 평소에 재미있어 하던 일에 대한 무료감이 든다고 합니다. 아래 우울증 진단 체크리스트에서 3개 이상일 경우에는 우울증을 의심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[우울증 초기 자가진단 증상 체크리스트 ]
✔ 직장생활에 대해서 무료함을 느낀다 |
✔ 평소에 재밌어 하던 일에 대한 무료함이 든다 |
✔ 생각과 행동 등이 (의욕이 없어서) 눈에 띄게 느려진다 |
✔ 식욕 및 어떤 일을 하고자 하는 의욕이 없다 |
✔ 모든 것이 가치없게 느껴지고 죄책감이 들곤 한다 |
✔ 늘 피곤하고 기운이 없다 |
당뇨

불규칙한 식습관과 운동을 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과로를 하게 되면 바로 찾아오는 당뇨 또한 주의해야 할 질병입니다. 당뇨의 후천적인 요인은 비만, 연령, 식생활, 운동부족, 스트레스 ,약물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있습니다. 하지만 유전적인 영향도 크다고 하니, 만약 가족력 중에 당뇨가 있다면 꼭 관리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아래 당뇨 초기진단 증상 중에 2~3가지에 해당이 된다면 꼭 병원에 방문하셔서 당뇨질환 여부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
[당뇨 초기진단 증상 체크리스트]
✔ 갈증을 느끼는 빈도수가 늘어나고 공복감이 크다 |
✔ 음식을 많이 먹었을 때 피로감이 크다 |
✔ 화장실을 가고 싶은 빈뇨감이 자주 들고 피부 건조해지는 현상이 자주 있다 |
✔ 잠을 자고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피곤한 느낌이 드는 만성 피로 현상을 경험한다 |
위암 유방암
초기에 건강검진 등을 통해서 발견을 해야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암질환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. 30대라고 생각하여 자신의 건강만 믿다가 건강관리를 잘 못하여 위암이나 유방암에 걸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.
사실 위암은 30대 부터 급격히 발생이 늘어나는데 위암은 한국과 일본에서 흔한 질병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사망률 2위의 질병이라고 합니다. 그 이유는 한국사람들이 많이 섭취하는 나트륨, 즉 염분 때문이라고 합니다.
그리고 위암의 초기 증상인 위궤양 발생 빈도수가 높은 것도 위암 발병률을 높이는 또 하나의 원인이라고 합니다. 유방암의 경우에는 가족력을 가지고 계신다면 발병 확률이 높아집니다.
유방과 위암 모두 불규칙한 식습과, 운동부족 등으로 건강관리를 하지 못한다면 걸릴 위험이 있는 질병입니다.과도한 음주 또한 유방암,위암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중에 하나입니다.
아래 유방암,위암 초기 진단 체크리스트를 체크해보시고 2~3개 정도 해당된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.
[위암 초기 진단 증상 체크리스트 ]
✔ 잦은 위궤양 증상 |
✔ 속쓰림 및 가슴 통증 |
✔ 음식 섭취 시 복통 및 가슴 통증 |
✔ 건강하지 못한 체중 감소 |
✔ 식욕이 감퇴 및 혈변 |
✔ 타는듯한 가슴통증 |
[유방암 초기 진단 증상 체크 리스트]
✔ 월경 후에 유방 통증 |
✔ 유방의 피부 변색 |
✔ 젖꼭지의 상처 및 함몰 |
✔ 유방 형태 변형 |
뇌졸중
흡연을 하는 30대라면 주의하셔야 할 질병인 뇌졸증은 뇌부분에 혈관의 건강이 악화되어 발병하게 되면 치료 및 회복이 힘든 질병 중에 하나입니다.
아래 뇌졸중 초기 진단 체크리스트에 기재된 증상을 경험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최대한 금연하려고 하셔야 하며, 병원에 방문하셔서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✔ 균형을 잡히 힘들고, 심한 두통을 느낌 |
✔ 시야가 어둡고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|
✔ 현기증 및 얼굴 부위의 마비 현상 |
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계산방법 자세히 알아보기